인터넷을 하다보면 평소와 다르게 웹페이지가 늦게 켜지거나 페이지가 늦게 넘어가는 경우가 있다.
이럴 때 인터넷의 핑을 체크해봐야 하는데 방법은 다음과 같다.
우선 '실행'을 이용하여 체크하는 방법이다.
1. 윈도우 버튼을 누르고 실행을 클릭한다.
2. 'ping kr.yahoo.com -t'또는 'ping kornet.net -t' 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른다.
3. 확인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고 몇초간의 간격으로 핑 체크가 시작된다.
4. 화면을 가득 채우고 더이상의 체크가 의미 없어졌으면 'Ctrl+C'를 눌러서 작업을 끝낸다.
핑 체크 프로그램 만들기 링크
(다음 링크는 핑 체크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.)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핑 체크 후 나오는 결과에 대해
[106.10.165.51의 응답: 바이트=32 시간=90ms TTL=49] 를 해석하면
- 106.10.165.51로부터 32바이트를 90ms의 시간에 받음.
시간에 대한 기준
30ms 이하 : 양호.
70ms 이하 : 사용하는데 그리 지장이 많다고 할 수 없는 정도 (50ms 이하가 좋다)
70ms 이상 : 33.6Kbps 또는 56Kbps 모뎀의 속도와 비슷한 정도로 고속망으로서는 그 효과가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.
150ms 이상 : 대단히 느린 결과로 회선 속도에 이상이 있다고 할 수 있다.
요청 시간이 만료되었습니다 : 회선이 불안정하다고 할 수 있다.
각 사이트에 대한 평균치가 기복이 심한 경우 : 회선이 불안정하다고 할 수 있다.
각 사이트에 대한 평균치가 일정한 주기(낮/밤 등의 시간대별로)로 빨라졌다 느려졌다 하는 경우 : 사용자가 많아서 발생하는 경우로 회선의 불안정과는 관계가 없다.
* 참고 : TTL(Time To Live) : ICMP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Ping Packet이 얼마동안 살아 있느냐를 나타낸다.
* Ping테스트시 TTL = ?? 라고 표시되는 그 시간동안만 그 페킷이 살아있다는 소리이다.
즉, TTL이라고 표기된 시간이 지난 페킷은 디스카드 되어져서 화면에는 request time out 이라는 표시가 나오면서 핑이 안되는 것으로 나타난다.
추가사항
'ping kr.yahoo.com -t' 를 입력할때 '-t'부분에 대한 설명
-t : 이 파라미터는 호스트를 연속적으로 핑할 경우 사용한다.
(네트웍에 과부하가 걸지지 않도록 주의한다.)
-a : 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풀어낸다.
-n : 이 파라미터는 에코 요구를 몇 개 보낼지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한다.
-l : 이 파라미터는 핑 패킷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한다
-f : 이 파라미터는 패킷에 Don’t Fragment flag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.
이 플래그는 패킷이 목적 디바이스에 완전히 전달되도록 보장한다.
만일 이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다면 라우터는 더 작은 패킷을 지연 하는
매체를 통과하기 위하여 조각으로 나뉠 수 없다. 만일 라우터에 그러한
매체가 포함되어 있다면 라우터는 그 패킷을 버리고 송신자에게 ICMP
목적지에 도달할 수 없음을 통보한다.
-iTTL : 이 파라미터는 Time To Live(TTL) 플래그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며,
이는 패킷이 통과할 수 있는 라우터(홉)의 개수를 나타낸다. 돌아다니는
ICMP 에코 패팃의 거리를 제한하려면 TTL에 작은 값을 주어 야 한다.
-vTOS : 이 파라미터는 Type Of Service(TOS) 플래그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.
만일 네트웍이 TOS를 지원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면 그러한 연결을 테스트하
기 위하여 PING 유틸리티가 특정 유형의 서비스를 사용 하도록 할 수 있다.
(출처 : http://www.kctvjeju.com/cabledic/view.asp?uid=161&board_id=book )